평가프로그램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정신건강 평가 시스템
😊
성인 기분, 불안 평가
진료시에 우울, 불안상태를 평가하여 치료 전, 후 증상의 호전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자가보고식 검사와 임상의에 의한 검사로 나뉘어 있습니다.
주요 평가 도구
BAI, BDI
벡 우울, 불안 검사
자가보고식 검사로 우울과 불안 수준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도구
HAMA, HAMD
해밀턴 우울, 불안 검사
임상의가 시행하는 구조화된 면담을 통한 평가 도구
PDSS
공황장애 중증도 척도
공황장애의 심각도와 치료 반응을 측정하는 전문 도구
평가의 의미
정확한 진단과 더불어 치료 경과를 객관적으로 추적하여
개인 맞춤형 치료 계획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
기질 및 성격, 행동 평가
학교 적응, 부모자녀관계, 부부관계에서 여러 부적응적인 원인을 기분, 기질, 성격 측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부모의 보고를 통한 정서, 적응상태, 행동 문제에 대한 평가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평가 도구
TCI
기질 및 성격검사
대상: 3세 ~ 성인
개인의 기질과 성격 특성을 과학적으로 분석
개인의 기질과 성격 특성을 과학적으로 분석
MMPI
다면적 인성검사
대상: 청소년 ~ 성인
성격 특성과 정신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
성격 특성과 정신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
SCT
문장완성검사
미완성 문장을 통해 무의식적 갈등과 성격 특성 파악
CBCL, YSR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아동청소년의 정서 및 행동 문제를 부모와 자녀 관점에서 평가
평가 영역
학교적응, 부모자녀관계, 부부관계 등 다양한 적응 문제
평가 방법
자가보고, 부모보고, 임상가 관찰 등 다각적 접근
소요 시간
종합적인 평가를 위해 1~2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1~2시간 소요
🎯
주의집중력 평가
청각 및 시각을 통해 주의력, 충동성, 집중력등을 평가하여 대인관계, 학습, 정서조절 등의 문제에 대해 평가, 치료할 수 있습니다.
주요 평가 도구
CAT
종합주의력 검사
컴퓨터 기반 검사로 시각적, 청각적 주의력을 종합적으로 평가
평가 영역
주의력, 충동성, 집중력, 지속적 주의력
적용 분야
대인관계, 학습능력, 정서조절 등
검사 방식
컴퓨터 기반 시각·청각 자극 검사
검사 정보
컴퓨터로 시행되며 정확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제공합니다.
1시간 이내
🧩
기억력 평가
기억력 저하의 정도와 기억력 저하로 인한 일상생활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주요 평가 도구
K-MMSE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
인지기능 전반에 대한 선별검사 도구
GDS
전반적 퇴화척도
치매의 진행 단계를 평가하는 척도
CDR
임상치매평가척도
치매의 중증도를 임상적으로 평가
ADL, I-ADL
일상생활동작 평가
기본적 일상생활과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평가
평가 목적
기억력 저하 정도의 객관적 측정
기능 평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정도 파악
평가의 중요성
조기 발견과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일상생활 지원 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한 체계적 평가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평가 도구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개인 맞춤형 치료 계획을 제공합니다.
각 영역별 전문 평가를 통해 환자분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최적의 치료 방향을 제시하겠습니다.
정확한 평가가 성공적인 치료의 첫걸음입니다.
각 영역별 전문 평가를 통해 환자분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최적의 치료 방향을 제시하겠습니다.
정확한 평가가 성공적인 치료의 첫걸음입니다.